티무르 체스(Timur's Chess)는 티무르(1336-1405)의 별칭인 Tamerlane(절름발이 티무르) Chess 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일설에 따르면, 티무르가 고안했다고 하기도 하나 확실치 않다. 이 장기는 페르시아(또는 아랍)에서 샤트란즈와 함께 두어졌다. 따라서 Shatranj Kamil(perfect chess) 또는 Shatranj Al-Kabir (large chess) 로 불리어졌다.
1. 장기판 : 체크무늬가 없는 11×10 = 110 칸 과 시타델(Citadel, 성채)이라고 하는 2개의 특수 칸으로 이루어져있으며, 가로로 넓다. 2개의 시타델은 제2행 우측 오른편과 제9행 좌측 왼편에 위치하며, 경기에서 특수한 역할을 담당한다.
2. 기물의 색깔은 하양(White) 과 검정(black) 이며, 각 폰의 경우, 위치에 따라 기물의 형상이 다르다.
3. 기물의 이름과 행마
4. 기물의 포진 : 아래와 같이 포진함
참조 : www.chessvariants.com
제3열에는 pa - w - c - e - ge - ki - v - gi - pi - kn - r
제2열에는 R - Kn - Pi - Gi - Ge - Ki - V - Gi - Pi - Kn - R
제1열에는 E - ( ) - C - ( ) - W - ( ) - W - ( ) - C - ( ) - E 으로 포진
5. 경기규칙
1) 승진 규칙
* 폰들은 King 폰과 Pawn 폰을 제외하고는 자신이 속한 대기물로 승진한다.
* King 폰은 끝행에서 Prince 로 승진한다. Prince는 King과 같은 행마를 하며, King외에 Prince도 잡거나
Mate 해야 승리를 할 수 있다.
* Pawn 폰은 끝행에 일단 둔다. 그곳에 있을 때는 잡히지 않는다. 그러다가 그 폰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 위치에
(즉, 상대의 기물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위치 또는 포크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언제라도 착수할 수 있다.
이때 그 위치가 비어있든, 점유되어 있든간에 또, 점유한 기물이 아군이든, 적군이든 관계없이 이를 제거하고
착수할 수 있다. (왕의 경우는 제외). 이 상태에서 폰의 행마를 한 후 두번째로 끝행에 도달하면, 즉시 King 폰의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세번째로 끝행에 도달하면, 재림왕(Adventitious King)이 된다.
재림왕은 Prince와 같은 행마를 하며, 승부에 있어서 동일한 자격을 가진다.
2) 시타델 규칙
* 적왕이 아군의 시타델에 들어오면, 승부는 비기게 된다. 만약 아군에 재림왕이 있다면, 이 기물을 아군의
시타델에 사전에 포진하여, 적왕이 들어오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시타델에는 적왕과 아군 재림왕에 어떤 기물도
들어갈 수 없다.
3) 기타 규칙
* 경기중 한번은 체크된 왕과 다른 기물의 위치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 Stale mate 되면 게임에서 진다.
6.티무르 체스의 다른 형태(Variation)
1) 왕과 대신 사이에 경비병(Guard)가 있다(왕과 같은 행마를 함). 물론 Guard 폰도 있다.
자연히 장기판은 12×10 = 120 칸 이 된다
2) Elephant는 사우 1~2칸(도약 가능), War Engine은 사방 1~2칸(도약 가능), Picket은 사우 무제한(1칸 가능),
General은 사우 한칸 외에 후방 1칸 추가, Giraffe는 사우 한칸 후 직진 무제한(2칸 이상)
3) 현대의 Queen이 Guard를 대신하는 것외에는 2)와 같다.
4) Giraffe가 사후 한칸 후 직진 무제한(1칸 가능) 외에는 3)과 같다
5) Giraffe가 4)의 행마 외에 사방 무제한 갈 수도 있는 것외에는 4)와 같다.
7. 참조 : http://www.chessvariants.com/historic.dir/tamerlane.html
2. 기물의 색깔은 하양(White) 과 검정(black) 이며, 각 폰의 경우, 위치에 따라 기물의 형상이 다르다.
3. 기물의 이름과 행마
이름 | 행마 | 비고(주요 장기 대응 기물) |
King 왕 |
사방(+)사우(×) 한칸 |
체스의 King |
General 장군 | 사우(×) 한칸 | 샤트란즈의 Firzan |
Vizir 대신 | 사방(+) 한칸 | 샹치의 將帥 |
Giraffe 기린 | 사우(×) 한칸 + 직진 무제한(3칸 이상) | - |
Picket 초병 | 사우(×) 무제한(2칸 이상) | 체스의 Bishop |
Knight 기사 |
사방 T자 행마, 도약(∩) 가능 |
체스의 Knight |
Rook 전차 | 사방(+) 무제한 | 체스의 Rook |
Elephant 코끼리 | 사우(×) 두칸, 도약(∩) 가능 | 샤트란즈의 Al-fil |
Camel 낙타 | 사우(×) 한칸 + 직진 두칸, 도약(∩) 가능 |
장기의 상 이 연상되는 행마 |
War Engine 공성기 | 사방(+) 두칸, 도약(∩) 가능 | - |
Pawn 졸 |
전방(↑) 한칸, 공격시 전우(V) 한칸 |
적진 끝행에서 승진 |
4. 기물의 포진 : 아래와 같이 포진함
참조 : www.chessvariants.com
제3열에는 pa - w - c - e - ge - ki - v - gi - pi - kn - r
제2열에는 R - Kn - Pi - Gi - Ge - Ki - V - Gi - Pi - Kn - R
제1열에는 E - ( ) - C - ( ) - W - ( ) - W - ( ) - C - ( ) - E 으로 포진
5. 경기규칙
1) 승진 규칙
* 폰들은 King 폰과 Pawn 폰을 제외하고는 자신이 속한 대기물로 승진한다.
* King 폰은 끝행에서 Prince 로 승진한다. Prince는 King과 같은 행마를 하며, King외에 Prince도 잡거나
Mate 해야 승리를 할 수 있다.
* Pawn 폰은 끝행에 일단 둔다. 그곳에 있을 때는 잡히지 않는다. 그러다가 그 폰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 위치에
(즉, 상대의 기물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위치 또는 포크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언제라도 착수할 수 있다.
이때 그 위치가 비어있든, 점유되어 있든간에 또, 점유한 기물이 아군이든, 적군이든 관계없이 이를 제거하고
착수할 수 있다. (왕의 경우는 제외). 이 상태에서 폰의 행마를 한 후 두번째로 끝행에 도달하면, 즉시 King 폰의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세번째로 끝행에 도달하면, 재림왕(Adventitious King)이 된다.
재림왕은 Prince와 같은 행마를 하며, 승부에 있어서 동일한 자격을 가진다.
2) 시타델 규칙
* 적왕이 아군의 시타델에 들어오면, 승부는 비기게 된다. 만약 아군에 재림왕이 있다면, 이 기물을 아군의
시타델에 사전에 포진하여, 적왕이 들어오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시타델에는 적왕과 아군 재림왕에 어떤 기물도
들어갈 수 없다.
3) 기타 규칙
* 경기중 한번은 체크된 왕과 다른 기물의 위치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 Stale mate 되면 게임에서 진다.
6.티무르 체스의 다른 형태(Variation)
1) 왕과 대신 사이에 경비병(Guard)가 있다(왕과 같은 행마를 함). 물론 Guard 폰도 있다.
자연히 장기판은 12×10 = 120 칸 이 된다
2) Elephant는 사우 1~2칸(도약 가능), War Engine은 사방 1~2칸(도약 가능), Picket은 사우 무제한(1칸 가능),
General은 사우 한칸 외에 후방 1칸 추가, Giraffe는 사우 한칸 후 직진 무제한(2칸 이상)
3) 현대의 Queen이 Guard를 대신하는 것외에는 2)와 같다.
4) Giraffe가 사후 한칸 후 직진 무제한(1칸 가능) 외에는 3)과 같다
5) Giraffe가 4)의 행마 외에 사방 무제한 갈 수도 있는 것외에는 4)와 같다.
7. 참조 : http://www.chessvariants.com/historic.dir/tamerlane.html
'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세 일본 대(중)장기 - 쥬쇼기(中將棋)와 다이쇼기(大將棋) (2) | 2009.12.13 |
---|---|
옛날 일본 대장기 - 헤이안 다이쇼기(平安大將棋) (0) | 2009.12.13 |
중세 서양 대장기 쿠리어 체스(Courier Chess) (1) | 2009.12.12 |
캄보디아의 또다른 장기 차트롱(Chatrong) (8) | 2009.12.07 |
몽골장기 샤타르(Shatar) (1) | 2009.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