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인도문헌에 기록된 대장기이다. 터키대장기라고도 한다. 기물의 행마에서 현대체스의 특징이 들어 있으므로 빨라도 중세이후에 고정된 장기의 형태로 보임.
1. 장기판 : 원래는 체크무늬가 없는 10×10=100 칸 장기판을 사용
2. 기물의 배치 : 아군과 적군의 포진은 상호 대칭임, 즉 왕이 서로 마주 보지 않음
a b c d e f g h i j
제3행 : 폰 폰
제2행 : 폰 폰 폰 폰 다바바 다바바 폰 폰 폰 폰
제1행 : 룩 나이트 비숍 대신 기린 킹 퀸 비숍 나이트 룩
3. 기물의 행마
킹, 퀸, 비숍, 나이트, 룩, 폰의 행마는 현대체스와 같다.
특수기물의 행마는 다음과 같다
*기린(Giraffe)은 퀸과 나이트의 행마를 할 수 있다.
*대신(Vizir)은 비숍과 나이트의 행마를 할 수 있다.
*공성기(Dabbabah)는 룩과 나이트의 행마를 할 수 있다.
*졸(Pawn)은 마지막 열에서 퀸으로 승진한다.
1. 장기판 : 원래는 체크무늬가 없는 10×10=100 칸 장기판을 사용
2. 기물의 배치 : 아군과 적군의 포진은 상호 대칭임, 즉 왕이 서로 마주 보지 않음
a b c d e f g h i j
제3행 : 폰 폰
제2행 : 폰 폰 폰 폰 다바바 다바바 폰 폰 폰 폰
제1행 : 룩 나이트 비숍 대신 기린 킹 퀸 비숍 나이트 룩
3. 기물의 행마
킹, 퀸, 비숍, 나이트, 룩, 폰의 행마는 현대체스와 같다.
특수기물의 행마는 다음과 같다
*기린(Giraffe)은 퀸과 나이트의 행마를 할 수 있다.
*대신(Vizir)은 비숍과 나이트의 행마를 할 수 있다.
*공성기(Dabbabah)는 룩과 나이트의 행마를 할 수 있다.
*졸(Pawn)은 마지막 열에서 퀸으로 승진한다.
'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혁(博奕)과 장기의 기원 (0) | 2010.01.03 |
---|---|
몽골 대장기 - 히아샤타르(Hiashatar) (6) | 2009.12.13 |
중세 일본 대(중)장기 - 쥬쇼기(中將棋)와 다이쇼기(大將棋) (2) | 2009.12.13 |
옛날 일본 대장기 - 헤이안 다이쇼기(平安大將棋) (0) | 2009.12.13 |
옛날 아랍 대장기 티무르 체스(Timur Chess) (0) | 2009.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