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력과 영양수준 그리고 영양구성간의 절대적인 상관성은 보이지 않으나, 소득수준에 따른 영양구성의 변화방향은 살펴볼 수 있다.
곡류권 국가들은 일본을 향해, 육류권 국가들은 미국을
향해 움직인다.
소득수준과 식문화에 따라 다양한 나라들이 건강이라는 최고의 가치를 향해 수렴되고 있다.
앞으로의 영양수준 및 구성은 일본과 미국의 어느 지점에서 수렴될 것으로 보인다.
1. 미국
미국의 영양구성은 전분질 식품과 유지류의 증가, 동물성 식품의 감소라는 뚜렷한 경향을
보인다.
기본적인 경향은 low-fat과 건강 지향으로 영양섭취량
3,700 kcal는 포화상태로 감소예상되지만, 영양구성은 변화할 것이다.
전분질 식품에서는 밀에 비해, 쌀의 소비가 급격히 늘고 있고, 유지류는 고급유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동물성 식품의 경우는 가금류와 돼지고기등의 육가공제품 및 고급유가공 제품 등의 시장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다.
2. 일본
일본의 영양구성은 미국과 정반대로 동물성 식품의 증가, 전분질 식품 의 감소라는 뚜렷한
경향을 보인다.
기본적인 경향은 서구식 식생활 지향이나, 영양섭취량 3,000 kcal가 포화상태로 점차 감소예상되고,
영양구성은 현재 고착단계이다.
전분질 식품에서는 인스턴트 및 패스트푸드 외 소비가 감소하나, 정체상태이고, 동물성 식품의 경우는 육가공, 냉동제품 등의 시장이 아주 미세하게 증가하고 있다.
3. 한국
한국의 영양구성은 일본과 비슷하여 소득수준의 증가에 따라, 동물성 식품의 증가, 전분질
식품의 감소라는 뚜렷한 경향을 보인다.
기본적인 경향은 서구식 식생활 지향이나, 영양섭취량
3,200 kcal가 포화상태로 점차 감소예상되고, 영양구성은 현재 일본의 70년대이다.
일본의 70년대($4,000)와 현재 우리의 구매력수준($13,000)은 차이가 있으나, PPP의 절대수준과는 별개로 곡류중심의 국가들은 모두 일본의 영양구성을 따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4. 대만
대만의 영양구성은 한국,일본과 달리 중국식생활의 특성을 반영하여 유지류(21%)의 영양구성이 미국보다도 높은 것이 특징이다.
전체적으로 80년대 후반에 선진수준의 영양상태와 구성을 보인다.
그후 특이하게 동물성식품의 구성은 계속 줄고 유지는 계속 성장하고 있으나, 앞으로 변화의
폭이 커 보이지는 않고 있다.
영양섭취량은 3,200 kcal가 포화상태로 점차 감소예상된다.
5. 중국
중국은 전체적으로 보아 대만의 70년대 초반의 영양수준이며 앞으로 특히 설탕구성(2%)의 증가가 예상된다.
대만과 비교해보았을 때, 앞으로 소득수준의 증가에 따라,
설탕 뿐만 아니라, 동물성식품과 유지의 뚜렷한 구성의 증가가 예상된다.
영양섭취량은 3,000 kcal가 포화상태로 증가 가능하나,
영양구성의 변화는 대단히 클 것으로 보인다.
6. 호주
호주의 영양구성은 미국을 따르고, 전분질 식품과 유지류의 증가, 동물성 식품 의 감소라는 경향 역시 유사하다.
영양섭취량은 3,300 kcal의 포화상태를 거쳐 감소하고 있으나, 영양구성의 변화의 폭은 아주 미미하다.
미국과 다른 주요한 특징으로는 설탕류의 소비가 줄고 있는데, 이는 미국보다는 유럽권의 식생활 구조에 더 유사하다.
7. 브라질
브라질은 육류권 국가로 볼 수 있으나, 영양구성의 변화방향은 동물성 식품의 증가, 전분질 식품의 감소로 나타나 곡류권 국가를 따른다.
이는 기본적인 소득수준이 낮고, 또한 인디오와 같은 다양한 인종구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영양섭취량은 3,000 kcal로 아직 성장단계이고, 소득의
증가에 따라 동물성식품 시장에서의 급격한 성장이 예상된다.
8. 인도
인도는 소득수준이 파키스탄과 비슷하지만, 영양구성은 휠씬 더 채식주의 경향을
띄고 있다.
영양섭취량 또한 2,400 kcal로 앞으로 소득수준의 증가에 따라, 동물성 식품 뿐 아니라, 모든 선진적 식품군 시장에서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된다.
전반적으로
영양섭취량 증가 수준이 연평균 1% 이상인 나라로는 중국과 인도네시아가 있다.
아시아권 선진국가의 평균섭취량 수준은 3,000,kcal 대이며, 유럽국가의 평균섭취량 수준은 3,300,kcal 대이다.
따라서 평균 섭취량이 3,000 ~ 3,300 kcal 수준을 넘어선 시점으로부터 각 나라의 식품산업은 단순한 성장 보다는 건강 지향 과 간편 지향 및 글로벌 식문화 수용의 방향으로 변화해 간다.
(2002. 04. 29)
'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유럽에서의 한국식품 사업환경 (0) | 2015.02.07 |
|---|---|
| 컨세션 사업 강의 노트 (0) | 2012.11.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