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나 바둑의 기원과 관련하여 자주 인용되는 문헌 중에 논어 17장(양화) 22절의 다음 구절이 있다.

子曰 飽食終日 無所用心 難矣哉  不有博奕者乎 爲之猶賢乎已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종일 배불리 먹고 마음 쓸 데가 없다는 것은 어려운 노릇이다. 박혁이라는 게 있지 않느냐? 그런 것이라도 하는 게 그래도 나을 것이다' 註: 박혁은 장기 · 바둑 따위 (차주환역, 동양의 지혜)

기원전 6~5세기에 생존했던 공자님의 말씀인 논어에 장기와 바둑이 기록되어 있으니, 우리는 보통 그 시대에도 장기가 있었으려니 여긴다. 그리고 또 당연히 장기의 중국 기원설을 전혀 의심하지 않는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박혁(博奕)에서의 博이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장기가 아니고, 소위 육박(六博, 陸博)이라는 것으로 발전하는 우리의 윷놀이 비슷한 경주게임(racing game)이라는 것을 안다면, 이 문헌에서의 박혁(博奕)이 결코 장기의 기원을 보증하는 기록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김달수의 [바둑의 기원과 관련된 박혁의 의미에 대한 문헌연구 및 고찰, 2006]에 따르면, 논어에 나오는 박혁(博奕)은 博(六博)과 奕(바둑)의 두가지 게임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와 바둑은 물론 아니고), 博(六博)에 가까운 博奕이라는 또다른 단일 게임이라고 추정한다. 博은 기본적으로는 箸(젓가락)를 던져 博局(놀이판)에 배치된 말을 움직이면서 상대의 말을 잡는 경기이다. 그런데 여기서 "博"은 누가 빨리 도착지점에 돌아오느냐에 의해 승부가 결정되지만, "博奕"(博의 변형된 게임)은 정해진 수의 말 즉, 6개의 말을 누가 먼저 다 잡느냐에 의해 승부가 결정된다고 추정하고 있다. (오목과 월남오목과의 관계같은 느낌이다.) 여기서 정리해보면, 博은 경주게임, 博奕은 경주게임+포획게임(동일한 기능의 말을 모두 잡기), 장기는 포획게임(왕을 잡는 게임), 바둑은 영토게임+포획게임 이라고 볼 때, 博奕은 포획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한 편으로는 장기와 다른 한편으로는 바둑과의 공통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선진(先秦)시대의 "博奕"은 경주게임((racing game)에서는 "博"에게, 포획게임에서는 "奕(바둑)"에 비해 열세였고, 또한 실제로 관전을 하기 전에는 博과 博奕을 구별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므로, 고전문헌의 기록자는 博과 博奕을 모두 무의식적으로 博으로 기록하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선진(先秦)시대를 지나, 진한(秦漢)시대에 이르면, "博"은 초기의 단순한 경주게임에서, 점수제 즉, 중앙에 있는 "水"에 있는 물고기를 낚거나 뒤집으면 점수를 얻는 게임으로 진화하였다. 이후 수당시대에 이르면 게임으로서의 博과 博奕은 소멸되고, 博奕은 주로 주사위를 사용하는 게임의 총칭의 의미로 사용되다가, 송대이후에는 반상게임만이 아니고, 게임 전체에 대한 총칭의 개념으로 사용되게 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博奕을 博(경주게임)과 奕(바둑)으로 보든, 博奕이라는 단일 게임으로 보든 간에, 우리가 알고 있는 장기로 해석될 여지는 없게 된다. 실제로 고고학 자료로 보나, 문헌적 자료로 보나 중국에서는 AD 8세기 이전에는 장기에 관한 명확한 전거가 없는 형편이지만 博(경주게임)에 대해서는 상당히 많은 자료가 현재 확보되고 있고, 선진시대에서 위진남북조시대까지 博이 상당히 유행했음을 또한 알 수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통상 우리나라 역사에서 장기 관련 기술로 거론되는 삼국사기 개로왕(~AD 475)조의 장기 관련 기사 또한 원문을 직접 확인해 보았다. 역시 여기에도 博奕이라고 기술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따라서 博奕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확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이를 개로왕이 장기와 바둑을 좋아했다고 번역하고 또한 삼국시대에 이미, 장기가 있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합리적인 자세라고 할 수 없다. 

時百濟王近蓋婁好博奕 道琳詣王門告曰 臣少而學碁 頗入妙 願有聞於左石 王召入對碁 果國手也 (삼국사기 개로왕조)


 

Posted by 돌잠
,

인도 대장기

체스 2010. 1. 3. 18:37
18세기 인도문헌에 기록된 대장기이다. 터키대장기라고도 한다. 기물의 행마에서 현대체스의 특징이 들어 있으므로 빨라도 중세이후에 고정된 장기의 형태로 보임.


 

1. 장기판 : 원래는 체크무늬가 없는 10×10=100 칸 장기판을 사용 

2. 기물의 배치 : 아군과 적군의 포진은 상호 대칭임, 즉 왕이 서로 마주 보지 않음

                a      b      c      d      e      f      g      h      i       j      
    제3행 :                                 폰    폰
    제2행 :  폰    폰     폰     폰 다바바 다바바 폰   폰     폰     폰
    제1행 :  룩 나이트 비숍  대신 기린   킹    퀸    비숍 나이트 룩

3. 기물의 행마

킹, 퀸, 비숍, 나이트, 룩, 폰의 행마는 현대체스와 같다.
특수기물의 행마는 다음과 같다
 *기린(Giraffe)은 퀸과 나이트의 행마를 할 수 있다.
 *대신(Vizir)은 비숍과 나이트의 행마를 할 수 있다.
 *공성기(Dabbabah)는 룩과 나이트의 행마를 할 수 있다.
 *졸(Pawn)은 마지막 열에서 퀸으로 승진한다.





Posted by 돌잠
,
몽골 대장기는 히아샤타르(Shatar) 이라고 한다. 샤타르에 히아(Hia)라는 기물이 추가되어 10×10=100 칸의 장기판에서 두어진다. 약 500년전부터 두어진 것이라고 한다. 히아는 senior advisor, warrior 또는 body guard의 뜻이다 




 
1. 장기판 : 원래는 체크무늬가 없는 10×10=100 칸 장기판을 사용 
  
2. 기물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3. 히아(Hia)의 행마

 *모든 방향으로 1~2칸 이동할 수 있다.(2칸 이동시, 도약할 수 없다)
 *공격은 사우 한칸으로 한다.
 *어떤 기물이라도 히아(Hia)의 주변 한칸 이내의 영역에서는 한칸만 이동할 수 있다. 즉 베르스(Bers), 테메(Teme), 테렉(Tereg)와 같이 장거리 기물이라고 할지라도, 히아의 주변에서는 한칸으로 그 영향력이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은 모리(Mori)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히아는 노용(Noyon) 주위에서 한 칸이상 떨어져 있지 말아야 한다.
 *히아는 적왕을 잡을 수도 체크할 수도 없다.

4. 기타규칙

 *베르스(Bers)는 현대체스의 퀸처럼 행마한다.
 *모든 푸(Fu)는 첫수에 전방 1~3 칸 행마를 할 수 있고, 또한 앙파상도 있다.
 *샤타르에서의 의례적 오프닝과 엔딩 제한(체크 제한 규칙)은 없다.

5. 참조
http://hem.passagen.se/melki9/hiashatar.htm

Posted by 돌잠
,
쥬쇼기(中將棋)는 14세기초에서부터 20세기초까지 두어진 일본장기이다. 특히 교토(京都)에서 많이 두어졌다. 



쥬쇼기의 차림새 : 12 × 12 = 132 칸의 장기판 위에 기본 4행 차림에 5행의 주인 2 말 추가
참조 : http://en.wikipedia.org/wiki/Chu_shogi

1) 쥬쇼기의 기물과 행마

 이름  행마  비고
 취상(醉象)       drunken elephant  주변 한칸(후방 제외)  승진시 태자
 금장(金將)       gold general  사방전우 한칸  승진시 비차
 은장(銀將)       silver general  사우전방 한칸  승진시 수행
 동장(銅將)       copper general  전후방전우 한칸  승진시 횡행
 맹표(猛豹)       ferocious leopard  주변 한칸(측방 제외)  승진시 각행
 향차(香車)       lance  전방 무제한  승진시 백구
 기린(麒麟)       kirin  사우 한칸 + 사방 두칸(도약 가능)  승진시 사자
 봉황(鳳凰)       phoenix  사방 한칸 + 사우 두칸(도약 가능)  승진시 분왕
 맹호(盲虎)       blind tiger  주변 한칸(전방 제외)  승진시 비록
 각행(角行)       bishop  사우 무제한  승진시 용마
 반차(反車)       riverse chariot  전후방 무제한  승진시 경예
 사자(獅子)    lion  주변 한칸 2회 또는 주변 두칸(도약)  
 분왕(奔王)       free king  사방사우 무제한  
 용왕(龍王)       dragon king  사방 무제한 + 주변 한칸  승진시 비취
 용마(龍馬)       dragon horse  사우 무제한 + 주변 한칸  승진시 각응
 비차(飛車)       rook  사방 무제한  승진시 용왕
 수행(竪行)       vertical mover  전후방 무제한 + 측방 한칸  승진시 비우
 횡행(橫行)       side mover  측방 무제한 + 전후방 한칸  승진시 분저
 주인(注人)       go between  전후방 한칸  승진시 취상

 보병(步兵)       pawn  전방 한칸  승진시 토금(금장의 행마)
 태자(太子)       crown prince  주변 한칸  취상의 승진
 백구(白駒)       white horse  전후방전우 무제한  향차의 승진
 비록(飛鹿)       flying stag  전후방 무제한 + 주변 한칸  맹호의 승진
 경예(鯨鯢)       whale  전후방후우 무제한  반차의 승진
 비우(飛牛)       flying ox  전후방사우 무제한  수행의 승진
 분저(奔猪)       free boar  측방사우 무제한  횡행의 승진
 각응(角鷹)    horned falcon  측방후방사우 무제한 +
 전방은 사자의 행마를 함
 용마의 승진
 비취(飛鷲)    soaring eagle  사방후우 무제한 +
 전우는 사자의 행마를 함
 용왕의 승진
 옥장(玉將)       king  주변 한칸  -

* 사자와 사자 간 전투에는 복잡한 규칙이 있음
* 태자는 옥장과 같은 자격을 가짐, 따라서 옥장과 함께 태자도 잡아야 승리할 수 있음

2) 다이쇼기의 기물과 행마 (쥬쇼기에 없는)

 이름  행마  비고
 철장(鐵將)      iron general  전우전방 한칸  -
 석장(石將)      stone general  전우 한칸  -
 묘인(猫刃)      cat sword  사우 한칸  샤트란즈의 Firzan
 악랑(惡狼)      evil wolf  전방측방전우 한칸  -
 진저(嗔猪)      angry boar  사방 한칸  티무르체스의 Vizir
 맹우(猛牛)      violent ox  사방 1~2칸  
 비룡(飛龍)      flying dragon  사우 1~2칸  
*모두 승진시 금장임

(추후 보완 필요)
Posted by 돌잠
,
헤이안 다이쇼기(平安大將棋)는 일본의 헤이안(平安)시대에 두어진 2개의 쇼기(쇼기, 대쇼기)중 대장기이다.

又大将棊十三間云 玉将各住一方中 金将在脇 銀将在金之次 次有銀将 次有銅将 次有鐵将 次有香車 銅将不行四隅 鐵将不行後三方 横行在王之頂方行前一歩左右不云多少 又有猛虎在銀之頂行四角一歩 飛龍桂馬之上行四隅超越 奔車香車之頂行前後不云多少 注人在中心歩兵之頂行前後 如是一方如此行方准之
(참조 : 二中歷‧博棋歷 (1210~1221))



www.atlaspost.com/landmark-622956.htm


1) 
현대쇼기 외 추가 기물

 이름  행마  비고(주요 장기 대응 기물)
 동장(銅將)    copper general  사방(+) 한칸  티무르체스의 Vizir
 철장(鐵將)    iron general  전방측방(⊥)전우(V) 한칸  -
 횡행(橫行)    side mover  전방(↑) 한칸 or 측방(↔) 무제한  -
 맹호(猛虎)    fierce tiger  사우(×) 한칸  샤트란즈의 Firzan
 비룡(飛龍)    flying dragons  사우(×) 무제한
 승진시 사방(+) 한칸 추가
 체스의 Bishop(쇼기의 角行)
 승진시 쇼기의 龍馬
 분차(奔車)    free chariot  전방후방(↕) 무제한  -
 주인(注人)    go between  전방후방(↕) 한칸  -

  *동장과 철장은 쥬쇼기, 다이쇼기에서의 행마와는 다르다
  *비룡의 행마와 승진에 대해서는 한문의 문구에 비추어 볼 때 의문점이 있음. 
  *다른 기물의 행마는 현대쇼기와 동일하다
  *승진 규칙이 있으며, 동일하다(적진 입성시 승진가능, 승진은 비룡을 제외하고 모두 금장으로)
  *따라서 기물의 재활용 규칙(Drop Rule) 은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Posted by 돌잠
,
티무르 체스(Timur's Chess)는 티무르(1336-1405)의 별칭인 Tamerlane(절름발이 티무르) Chess 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일설에 따르면, 티무르가 고안했다고 하기도 하나 확실치 않다. 이 장기는 페르시아(또는 아랍)에서 샤트란즈와 함께 두어졌다. 따라서 Shatranj Kamil(perfect chess) 또는 Shatranj Al-Kabir (large chess) 로 불리어졌다.
 
1. 장기판 :  체크무늬가 없는 11×10 = 110 칸 과 시타델(Citadel, 성채)이라고 하는 2개의 특수 칸으로 이루어져있으며, 가로로 넓다. 2개의 시타델은 제2행 우측 오른편과 제9행 좌측 왼편에 위치하며, 경기에서 특수한 역할을 담당한다.

2. 기물의 색깔은 하양(White) 과 검정(black) 이며, 각 폰의 경우, 위치에 따라 기물의 형상이 다르다. 

3. 기물의 이름과 행마

 이름  행마  비고(주요 장기 대응 기물)
 King                  왕

 사방(+)사우(×) 한칸

 체스의 King
 General             장군  사우(×) 한칸  샤트란즈의 Firzan
 Vizir                  대신  사방(+) 한칸  샹치의 將帥
 Giraffe               기린  사우(×) 한칸 + 직진 무제한(3칸 이상)  -
 Picket               초병  사우(×) 무제한(2칸 이상)  체스의 Bishop
 Knight               기사

 사방 T자 행마, 도약(∩) 가능

 체스의 Knight
 Rook                 전차  사방(+) 무제한  체스의 Rook
 Elephant            코끼리  사우(×) 두칸, 도약(∩) 가능  샤트란즈의 Al-fil
 Camel               낙타  사우(×) 한칸 + 직진 두칸, 도약(∩) 가능

 장기의 상 이 연상되는 행마

 War Engine        공성기  사방(+) 두칸, 도약(∩) 가능  -
 Pawn                졸

 전방(↑) 한칸, 공격시 전우(V) 한칸

 적진 끝행에서 승진


4. 기물의 포진 :  아래와 같이 포진함


참조 : www.chessvariants.com

  제3열에는  pa - w - c  - e -  ge - ki - v  - gi -  pi - kn -  r 
  제2열에는  R - Kn - Pi - Gi - Ge - Ki - V - Gi - Pi - Kn - R
  제1열에는  E - ( ) - C - ( ) - W - ( ) - W - ( ) - C - ( ) - E   으로 포진

5. 경기규칙
 
 1) 승진 규칙 
   * 폰들은 King 폰과 Pawn 폰을 제외하고는 자신이 속한 대기물로 승진한다.
   * King 폰은 끝행에서 Prince 로 승진한다. Prince는 King과 같은 행마를 하며, King외에 Prince도 잡거나
     Mate 해야 승리를 할 수 있다.
   * Pawn 폰은 끝행에 일단 둔다. 그곳에 있을 때는 잡히지 않는다. 그러다가 그 폰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 위치에
     (즉, 상대의 기물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위치 또는 포크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언제라도 착수할 수 있다. 
     이때 그 위치가 비어있든, 점유되어 있든간에 또, 점유한 기물이 아군이든, 적군이든 관계없이 이를 제거하고
     착수할 수 있다. (왕의 경우는 제외). 이 상태에서 폰의 행마를 한 후 두번째로 끝행에 도달하면, 즉시 King 폰의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세번째로 끝행에 도달하면, 재림왕(Adventitious King)이 된다.
     재림왕은 Prince와 같은 행마를 하며, 승부에 있어서 동일한 자격을 가진다.

 2) 시타델 규칙
   * 적왕이 아군의 시타델에 들어오면, 승부는 비기게 된다. 만약 아군에 재림왕이 있다면, 이 기물을 아군의
    시타델에 사전에 포진하여, 적왕이 들어오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시타델에는 적왕과 아군 재림왕에 어떤 기물도
    들어갈 수 없다.

 3) 기타 규칙
   * 경기중 한번은 체크된 왕과 다른 기물의 위치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 Stale mate 되면 게임에서 진다.

6.티무르 체스의 다른 형태(Variation)

 1) 왕과 대신 사이에 경비병(Guard)가 있다(왕과 같은 행마를 함). 물론 Guard 폰도 있다.
     자연히 장기판은 12×10 = 120 칸 이 된다
 2) Elephant는 사우 1~2칸(도약 가능), War Engine은 사방 1~2칸(도약 가능), Picket은 사우 무제한(1칸 가능),
    General은 사우 한칸 외에 후방 1칸 추가, Giraffe는 사우 한칸 후 직진 무제한(2칸 이상)
 3) 현대의 Queen이 Guard를 대신하는 것외에는 2)와 같다.
 4) Giraffe가 사후 한칸 후 직진 무제한(1칸 가능) 외에는 3)과 같다
 5) Giraffe가 4)의 행마 외에 사방 무제한 갈 수도 있는 것외에는 4)와 같다.

7. 참조 : http://www.chessvariants.com/historic.dir/tamerlane.html
 

Posted by 돌잠
,
쿠리어 체스(Courier Chess)는 AD 12세기부터 18세기까지 중부유럽 특히 독일에서 성행하던 장기이다.
 
1. 장기판 :  12×8 = 96 칸 으로 이루어져있으며, 가로로 넓다.

2. 기물의 색깔은 하양(White) 과 검정(black) 이며, 기물의 형상은 다음 그림에 따른다


The Chess Players  by Lucas van Leyden (1508)
참조 : http://www.chess-theory.com/encprd03717_chess_practice_reflections_debates_arts.php

3. 기물의 이름과 행마

 이름  행마  비고(주요 장기 대응 기물)
 König        (KIng)

 사방(+)사우(×) 한칸

 체스의 King
 Königin     (Queen)

 사우(×) 한칸

 샤트란즈의 Firzan
 Man          (Sage, 현인)  사방(+)사우(×)  한칸  티무르체스의 Guard
 Schleich    (Jester, 어릿광대)  사방(+) 한칸  티무르체스의 Vizir
 Kurierer   (Courier, 특사)

 사우(×) 무제한

 체스의 Bishop
 Schütze    (Bishop)  사우(×) 두칸, 도약(∩) 가능  샤트란즈의 Al-fil
 Reutter      (Knight)

 사방 T자 행마, 도약(∩) 가능

 체스의 Knight
 Roche       (Rook)  사방(+) 무제한  체스의 Rook
 Soldat       (Pawn)

 전방(↑) 한칸, 공격시 전우(V) 한칸

 적진 끝행에서 Königin으로 승진


4. 기물의 포진 :  중앙에 배치되는 Courier, Sage, King, Queen, Jester, Courier 가 상호 마주 보게 포진함, white King은 white square에 black King은 black square 에 포진



6. 경기규칙
 
 1) 경기는 4수의 특별한 의례적 오프닝 후 시작된다. 
   -룩과 퀸 앞의 3개의 폰이 2칸 앞으로 전진한다.
   -퀸이 2칸 앞으로 전진하여, 퀸폰 뒤에 위치한다.
 2) 상대의 왕을 Stalemate 상태로 만들어도, 승리할 수 있다. *현대체스에서는 비김 규칙

Posted by 돌잠
,
캄보디아장기인 욱 차트랑(Ouk Chatrang)은 태국장기 막룩(Makruk) 과 경기규칙과 기물의 형태가 동일하며, 현재 대중적으로 두어지고 있다. 그러나 캄보디아에는 막룩과 동일한 장기 외에 또다른 장기가 있었음이 두 사람의 증인을 통하여 기록되었다. 이 장기의 전통은 캄보디아의 킬링필드 때 단절되었을 수 있으며, 현재에 캄보디아의 어딘가에서 두어지는지는 알 수 없다. 이 장기의 이름은 차트롱(Chatrong) 또는 샤트롱(Shattrong)으로서 장기의 특징은 각자 상이한 여러나라 장기의 특징을 모두 담고 있어 매우 흥미롭다. 


참조 : http://history.chess.free.fr/cambodian_hill.htm


1. 장기판 : 9×9 = 81 교차점에 두는 장기판이다.  
   *Okano의 사진에 따르면, 미얀마 장기판처럼 두개의 긴 대각선이 그어져 있으나, 경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기물의 형태는 추상화한 원통형(과일형태)이며, 색깔은 Red와 Green이다. 졸(Trei)은 원통형으로 뒤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3. 기물의 이름 

 P. A. Hill  / Okano Shin / 뜻  욱 차트랑       (뜻)  주요 장기의 대응기물
 Chhwie      Kwon           King  Sdaach, Ang (King 왕)  체스의 King
 Ta Hien      Neamahn     Official  Neang          (Maiden 처녀)  샤트란즈의 Firzan
 Tam Mai    Kwos           Elephant  Koul             (Pillar 기둥)  -
 Sheh          Seh             Horse  Ses              (Horse 말)  체스의 Knight
 Tuk           Tuuk             Boat  Tuuk            (Boat 배)  체스의 Rook
 Trei           Trai              Fish  Trey            (Fish 물고기)  체스의 Pawn

4. 기물의 포진 :  왕(Chhwie)의 좌우에 사(Ta Hien)가 배치되며, 이하 대기물배치는 보통의 장기와 같다.
                       졸(Trei)를 제 4행에 배치하는 점이 특징임

5. 기물의 행마

  P. A. Hill  / Okano Shin  행마  비고
 Chhwie      Kwon    사방(+)사우(×) 한칸  -
 Ta Hien      Neamahn   사우(×) 한칸
 공격시 전우(V) 한칸
 -
 Tam Mai    Kwos   

 사방(+)사우(×) 한칸
 공격시 전방측방(⊥) 전우(V) 한칸*

 -
 Sheh         Seh  

 사방 Y자 행마, 도약(∩) 가능

 -
 Tuk           Tuuk      사방(+) 무제한  -
 Trei           Trai    전방(+) 한칸  적진(상대의 제4행)에 도착시 승진하며, 승진시 Chhwie의 행마를 함

 * 졸(Trei)은 승진시 뒤집는다
 * Okano에 따르면, 상(Kwos, Tam Mai)은 공격시 전방 전우로만 한다(측방은 제외)
 
6. 경기 감상

사와 상을 볼 때, 매우 공격적인 행마를 하게 되므로, 쇼기와 유사한 느낌을 준다.
졸을 4열에 배치하고 선을 따라 행마를 하므로 샹치나, 장기와 유사하다.
졸이 승진에 성공하면, 가장 강력한 기물이 되는 점이 특이하다.
Posted by 돌잠
,
몽골장기는 샤타르(Shatar) 이라고 한다.


 
1. 장기판 : 원래는 체크무늬가 없는 8×8=64면 판을 사용했으나,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서양체스판을 쓰고 있다. 
  
2. 기물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3. 기물의 이름

 이름   뜻  주요 장기의 대응기물
 Noyon  Lord, Khan, Prince (왕)  체스의 King
 Bers  Snow Panther (신화적 동물)  쇼기의 龍王 (飛車의 승진기물)
 Teme  Camel (낙타)  체스의 Bishop
 Mori  Horse (말)  체스의 Knight
 Tereg  Cart (수레)  체스의 Rook
 Fu  Child (새끼)  체스의 Pawn

*Bers는 신화적 동물이라고 되어 있는데, 느낌이 해태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갑자기 든다. 왜나하면, 해태도 결국은 궁성을 지키는 동물이니까. 음감으로는 샤트란즈의 피르잔(Firzan)과 유사하다.

4. 기물의 포진은 전통적으로는 양쪽 노용(Noyon)이 같은 열에 마주 보지 않는 것이 현대체스와 다른 점이었으나, 현재에는 양쪽 노용(Noyon)이 같은 열에 마주 보는 것으로 되면서 현대체스처럼 포진하고 있음.

5. 기물의 행마

 이름  행마  비고
 Noyon, Nojon, Noin, Noyion

 사방(+)사우(×) 한칸

 -
 Bers, Berse  사방(+) 무제한 + 사우(×) 한칸  -
 Teme, Temee  사우(×) 무제한  -
 Mori, Mor'

 사방 T자 행마, 도약(∩) 가능

 -
 Tereg, Terge, Terghe  사방(+) 무제한  -
 Fu, Chu, Xuu, Huu  전방(↑) 한칸
 공격시 전우(V) 한칸
 끝행까지 가면 Bers로 승진

 *노용이 적진에 진입하면, 모리의 행마를 얻는 규칙이 있을 수도 있음. (근세 버전) 이 경우 적진이 끝1행인지, 끝1~2행인지는 정확하지 않음. 또한 모리의 행마를 상대에 대한 공격에도 쓸 수 있는지는 확실치 않음.
 *베르스가 단순히 사선으로 한칸 행마하는 샤트란즈 피르잔(Firzan)의 행마를 할 수도 있음. (전통 버전)
 *테메가 단순히 사선으로 두칸 (또는 1~3 칸) 행마하는 샤트란즈 알필(Al-Fil)의 행마를 할 수도 있음. (전통 버전) 
 *모리가 그 두번째 행마부터 아마존 행마(퀸+나이트)를 할 수도 있음. (근세 버전)
 *쌍방 노용이 상호 마주 보게 포진 되는 경우에 베르스의 앞 푸(Fu) (또는 노용의 앞 푸)를 쌍방 첫 수에 전방 두칸 행마로 양 푸를 대치케 하는 의례적 오프닝 후 경기가 진행됨.

6. 특수 규칙

*샤크(Shak) : 베르스, 테렉, 모리로 하는 체크
  투크(Tuk)  : 테메로 하는 체크
  조드(Zod)  : 푸로 하는 체크

*일련의 연속적인 체크를 통한 체크메이트시, 샤크가 없는 메이트는 비김(Niol)
*모리로 하는 체크메이트는 허용되지 않음
*Bare King(Robado), Stalemate(Chzhit)는 비김

7. 참조
http://history.chess.free.fr/shatar.htm
HistoricalChessVariants.pdf
Posted by 돌잠
,
미얀마장기는 시투린(Sittuyin) 이라고 한다. 시트(Sit)는 미얀마어로 군대(Army)이므로 시투린은 '군대의 표상' (Representation of the Army) 이란 뜻이라고 한다. 따라서 인도의 '차투랑가' 의 원의를 보존함과 동시에 그 음상을 미얀마어로 음사한 것으로 보인다.

* 미얀마어에서 yi 로 발음나는 글자는 외래어에 쓰일 때는 ri 발음이 난다고 한다. 미얀마어 교본 참조.
* 미얀마 주재원한테 물어보니, 한글로 그 발음을 '싯뚜린' 이라고 적어주었다.

 
1. 장기판 : 8행×8열의 64면인 판으로서 체크무늬가 없고 양쪽 모서리와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이 그려져 있다.
  

  
2. 기물의 형태는 힌두교의 라마야나 신화를 주제로 한 매우 구체적인 형상이다. 



라마야나 신화는 일종의 선과 악의 대결이기도 한데, 고타마 싯달타 부처의 전생이기도 한 라마라는 왕이 원숭이왕 하누만의 도움을 받아, 라마의 부인 시타(Sita)를 납치해간 대마왕 다타기리(머리가 10개인)를 쳐부수고 부인을 구해온다는 이야기이다. 따라서 Red의 왕은 라마(Rama)이고, Green의 왕은 다타기리(Da Tha Gi Ri)이다. 또한 Red의 장군은 하누만(Hanuman)이며, Red의 졸병은 단순한 졸병이 아니고 라마를 도우러 온 영주들이지만, 원숭이들로 표현된다. 반면에 Green의 졸병은 데몬(demon)이다.
 
3. 기물의 이름

 이름   뜻  주요 장기의 대응기물
 Myn-gyi  Grand King(대왕, 왕)  체스의 King
 Sit-ke  Lieutenant General(부장, 장군)  샤트란즈의 Firzan
 Sin  Elephant(코끼리)  쇼기의 銀將
 Myin  Horse(말)  체스의 Knight
 Yattah  Chariot(전차)  체스의 Rook
 Ne  Fuedal Lord(영주)  체스의 Pawn

4. 기물의 포진은 자유포진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좌3행과 우4행에 졸(Ne)이 배치된다. 다음으로 나머지 대기물들은 자유롭게 배치되는데 이러한 배치 또한 경기 진행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시투윈에서는 초반 포진시 참고하는 표준배치법 32가지가 전통적으로 전해져 오고 있다.

 *포진시 제한사항으로는 제1행은 차(Yattah)가 배치되는 행이다. 차와 차끼리는 마주 보는 같은 열에 배치될 수 없다. 또한 상대의 왕이 있는 열에도 배치될 수 없다.(왕 앞에 다른 대기물이 가리는 상황에서는 가능하다는 문헌도 있다.) 차가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을 때, 후수자는 선수자의 요청에 따라 차를 다른 곳으로 재배치해야 한다.

5. 기물의 행마

 이름  행마  비고
 Myn-gyi

 사방(+)사우(×) 한칸

 -
 Sit-ke  사우(×) 한칸  -
 Sin  사우(×)전방(↑) 한칸  -
 Myin

 사방 T자 행마, 도약(∩) 가능

 -
 Yattah

 사방(+) 무제한

 -
 Ne  전방(↑) 한칸
 공격시 전우(V) 한칸
 승진시 Sit-ke의 행마를 함
 기존 Sit-ke가 있을 때는 승진 불가

 *승진은 상대진영의 대각선에서 가능하다. 졸(Ne)이 대각선에 있고, 아군의 사(Sit-ke)가 잡혔을 때, 승진이 가능하다. 승진은 사(Sit-ke)의 행마를 함으로써 승진을 표현한다. 그러나 왕(Myn-gyi)을 체크하거나, 적의 사(Sit-ke)를 잡는 곳으로는 이동하여 승진할 수 없다. 이때,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승진할 수도 있다. 승진을 하지 않고 졸의 행마로 앞으로 한칸 나가면서 대각선을 벗어날 수도 있으며, 이때는 승진의 자격을 잃게 된다.

6. 경기진행은 3가지 단계로 진행된다.(이러한 3단계 경기진행이 정통적인 것인지는 아직 확인하지 못함)
 1)1단계에서는 8수 동안 대기물을 배치한다. 이때, 졸(Ne)의 자리에 대기물을 배치할 수도 있다. 그러면 졸은 기존의 졸이 배치된 다음행의 빈 곳에 배치된다.( 대기물을 졸이 놓인 위에 놓는 수와 동시에 그 졸을 빈 곳에 옮기는 수는 함께 묶어서 한수로 간주한다)
  *상대진영을 보지 못하게 커튼을 가리고 한번에 진행할 수도 있다.(공식경기에서)
 2)2단계에서는 상대의 진영을 보면서 기물들간의 배치를 재조정하는 착수를 진행한다. 이때는 한 수 한 수 기물들을 옮기는 것이므로, 기물들의 행마규칙은 무시된다. 그러다가 어느 한편이 졸의 정상적인 행마(한칸 앞으로)를 하게되면, 2단계는 끝이 나고, 3단계가 시작된다.
 3)3단계에서는 보통의 진행을 하며, 행마규칙에 따라 경기가 진행된다.

*Stalemate는 허용되지 않는다. Stalemate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수를 뒤로 물러서 다시 두어야 한다.

7. 경기 감상

경기를 해보기 전에는 승진이 대각선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므로, 그것을 의식하였으나, 막상 해보니, 승진은 별로 중요한 것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사(싯케)가 반상에 살아 있는 상황에서는 사로 승진한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비록 승진한다 하더라도 사는 그리 파워플한 기물이 아니다.

그러므로 경기의 향방은 결국 마(Myin)와 차(Yattah)를 잘 사용하는 것에 달려 있는 셈이다. 또한 그러므로 초반에 상대의 착수에 따라 진용을 어떻게 배치하느냐가 승부를 가르는 핵심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Posted by 돌잠
,
태국장기는 막룩(Makruk) 이라고 한다. 캄보디아장기인 욱 차트랑(Ouk Chatrang)과 경기규칙과 기물의 형태는 동일하다. 캄보디아에서 Ouk은 Check를 뜻하므로, 이에 따라 유추하면 막룩이란 Check(Ruk)를 하는 게임(Mak)이라는 뜻이다.





1. 장기판 : 서양장기(Chess)판과 같다.  
  
2. 기물의 형태는 추상화한 원통형(과일형태)이며, 색깔은 White와 Black 을 주로 씀
 
3. 기물의 이름 

 막룩     (뜻)  욱 차트랑   (뜻)  주요 장기의 대응기물
 Khun    (Lord 영주)  Sdaach, Ang (King 왕)  체스의 King
 Met      (Seed 씨)  Neang      (Maiden 처녀)  샤트란즈의 Firzan
 Khon    (Nobleman, Mask 귀족)  Koul         (Pillar 기둥)  쇼기의 銀將
 Ma       (Horse 말)  Ses          (Horse 말)  체스의 Knight
 Rua      (Boat 배)  Tuuk         (Boat 배)  체스의 Rook
 Bia       (Cowry Shell 별보배고둥)
  -> Biagai
 Trey         (Fish 물고기)  체스의 Pawn

4. 기물의 포진 :  쿤(Khun)의 오른쪽에 멧(Met)이 배치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1행의 대기물 배치는 서양장기(Chess)와 같으나, 비아(Bia)를 (제2행이 아니라) 제3행에 배치하는 점이 특징임

5. 기물의 행마

 이름         -> 승진시 이름  행마  비고
 Khun      사방(+)사우(×) 한칸  -
 Met        사우(×) 한칸  -
 Khon      사우(×)전방(↑) 한칸  -
 Ma      

 사방 T자 행마, 도약(∩) 가능

 -
 Rua     

 사방(+) 무제한

 -
 Bia          -> Biagai  전방(↑) 한칸
 공격시 전우(V) 한칸
 적진(상대의 제3행)에 도착시 승진하며, 승진시 Met의 행마를 함

 * 콘(Khon)의 행마는 코끼리 행마라고 하는 것으로서 사지외에 코가 특징인 코끼리를 형상화 했다고 설명됨. 즉 전방 한칸 행마의 경우는 코끼리의 코로 하는 공격을 의미함.
 * Stale Mate는 비김
 * 한쪽이 Bare KIng이고, 동시에 비아(비아가이는 제외)가 하나도 없을 때 남은 기물에 따라 지정된 행마제한수 안에 승부를 내지 못하면 비기게 되는 비김 규칙이 있음. 먼저 다음의 행마제한수를 정한다.
   1) 2개의 루아(Rua)가 있으면 8수가 행마제한수
   2) 1개의 루아(Rua)가 있으면 16수가 행마제한수 (1의 조건이 성립 안될 때)
   3) 2개의 콘(Khon)이 있으면 22수가 행마제한수  (1,2의 조건이 성립 안될 때)
   4) 2개의 마(Ma)가 있으면 32수가 행마제한수     (1~3의 조건이 성립 안될 때)
   5) 1개의 콘(Khon)이 있으면 44수가 행마제한수   (1~4의 조건이 성립 안될 때)
   6) 멧과 비아가이만이 있으면 64수가 행마제한수  (1~5의 조건이 성립 안될 때)
행마제한수가 정해졌으면, 반상에 있는 모든 기물(양쪽의 쿤을 포함하여)의 갯수를 센 다음 그 갯수의 다음부터 자신의 행마를 센다. (만약, 루아가 1개가 있고 이를 포함하여 반상에 7개의 말이 남아 있는 경우라면, 8부터 세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행마제한수(이경우 16수) 안에 체크메이트 되지 않으면 비긴다.
    www.ancientchess.com
 * 비아 (비아가이는 제외)가 하나도 없을 때, 불리한 쪽에서 그때부터 64수 동안 버티면 비길 수 있다.
 * 쿤과 멧의 첫수 특별 규칙이 있음.(욱 차트랑에는 적용되고 있으나, 막룩에서는 실전됨)  그 기물의 첫수에 쿤은 마의 행마 (문헌에 따라서는 쇼기의 계마 행마만 허용) Option을, 멧은 전방 두칸 행마 (문헌에 따라서는 사우로 두칸 행마 또는 둘다 가능) Option을 가짐. (이때 문헌에 따라서는 이 행마시 쿤은 상대기물을 잡을 수도 있으나, 멧은 상대기물을 잡는 것은 허용되지 않고 이동만 허용된다고 함)
   http://www.chessvariants.com/oriental.dir/thai.html
   http://www.xs4all.nl/~timkr/chess/makruk.htm

6. 경기 감상

샤트란즈(아랍장기)와 비교할 때, 다른 점은 콘(Khon, Nobleman, 코끼리)이 두칸 뜀이 아니라, 사선 외에 전방 공격을 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꾸준히 화력을 모아서 앞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비아(Bia, 졸)가 한칸 더 앞으로 전진 배치되어 있으므로, 초기의 경기진행은 체스보다 빠를 것으로 보인다. 양쪽 비아(졸) 들의 때이른 대치와 꾸준히 앞으로 발걸음을 내딛는 콘(상)의 활용이 승부의 호흡에 영향을 줄 것이다. 

그리고 비아가 3칸 전진하여 적진에 진입하면 바로 승진하여 바아가이(Biagai)로서 멧(Met)의 행마를 할 수가 있으므로, 승진이 이른 시기에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승진과 관련된 전략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골장기 샤타르(Shatar)  (1) 2009.11.30
미얀마장기 시투린(Sittuyin)  (0) 2009.11.29
일본장기 쇼기(Shogi)  (6) 2009.11.17
중국장기 샹치(Xiangqi)  (2) 2009.11.15
옛날 아랍장기 샤트란즈(Shatranj)  (0) 2009.11.15
Posted by 돌잠
,

일본장기 쇼기(Shogi)

체스 2009. 11. 17. 23:45
일본장기는 쇼기(Shogi 將棋)라고 한다.


http://en.wikipedia.org/wiki/Shogi


1. 장기판 : 체스판과 같이 칸을 따라 행마를 한다. 체스보다 가로 세로 각 1줄이 더 많아  81면=9×9 이다. 
  
2. 기물의 형태는 오각형이며, 아군과 적군의 기물의 구별이 없다. 뒷면에는 승격시의 기물이 표시되어 있다.
    * 쇼기에서는 상대의 기물을 취하여 적당한 때에 자신의 기물로 삼을 수도 있다. 

3. 기물의 이름 

 이름 -> 승진시 이름  기물의 가치  주요 장기의 대응기물
 옥장(玉將) / 왕장(王將)  ∞  체스의 King
 금장(金將)  45 점  -
 은장(銀將) -> 성은(成銀)  40 점  막룩의 Sin
 계마(桂馬) -> 성계(成桂)  20 점  체스의 Knight (방향 제한이 다름)
 향차(香車) -> 성향(成香)  20 점  -
 각행(角行) -> 용마(龍馬)  70 점  체스의 Bishop
 비차(飛車) -> 용왕(龍王)  80 점  체스의 Rook
 보병(步兵) -> Tokin   2 점  샹치의 졸 (약간 다름)

4. 기물의 포진 : 제1행에 대기물을, 제2행 좌,우 2째열에 각행(角行)과 비차(飛車), 제3행에 보병(步兵) 배치

5. 기물의 행마

 이름 -> 승진시 이름  행마  비고
 옥장(玉將) / 왕장(王將)  사방(+)사우(×) 한칸  승진 없음
 금장(金將)  사방(+)전우(V) 한칸  승진 없음
 은장(銀將) -> 성은(成銀)

 사우(×)전방(↑) 한칸

 승진시 금장의 행마
 계마(桂馬) -> 성계(成桂)

 전방(↑) 한칸 + 전우(V) 한칸 = 전방Y자 행마, 도약(∩) 가능

 승진시 금장의 행마
 향차(香車) -> 성향(成香)

 전방(↑) 무제한

 승진시 금장의 행마
 각행(角行) -> 용마(龍馬)  사우(×) 무제한  승진시 사방(+) 한칸 추가
 비차(飛車) -> 용왕(龍王)  사방(+) 무제한  승진시 사우(×) 한칸 추가
 보병(步兵) -> Tokin  전방(↑) 한칸  승진시 금장의 행마
 
 *은장의 행마는 동남아시아 장기에 보이는 코끼리 행마이다. 사지외에 코를 포함하여, 5방향으로 착수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6. 특수 규칙

 *적진(끝에서 1~3행)에 진입하면 그 순간부터 언제라도 승진할 수 있으며, 말을 뒤집어서 승진을 표시함
 *비차와 각행은 적진을 나오면서도 승진할 수 있음
 *승진이 가능한 상황에서, 승진여부는 착수자의 의사에 달려 있음
 *계마의 경우는 끝 1~2행 그리고 향차, 보병의 경우에는 끝 1행으로 갈 때는 무조건 승진해야 함
 *경기 중 포획한 기물을 자기 기물로 삼아 기존 기물의 한 수 진행 대신 새로 장기판에 투입할 수 있음
 *포획시 승진된 기물로 잡았어도 재투입시에는 승진되기 전의 원래의 기물로 사용해야 함
 *재투입시에 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장기판 어디에나 착수할 수 있음
  1)착수하면서 바로 상대 기물 위에 놓아 상대기물을 잡을 수는 없다
  2)착수 후 그 기물의 행마를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는 위치에는 착수할 수 없다
   -계마 : 끝 1~2행, 향차와 보병 : 끝1행
  3)보병은 상대의 옥장(왕장)을 체크하여 바로 체크메이트를 할 수 없다
  4)보병을 동일한 열에 중복하여 놓을 수 없다.(승진한 보병은 가능)
 *재투입시, 적진에 투입하더라도 원래의 행마를 한 번 한 후에 승진이 가능함

7. 경기 감상

쇼기 세트를 구하기 어려워서, 직접 만들어서 두었다. 기물이 40개인데, 막내의 장난감 나무 블록을 활용하여, 겨우 조달하였다. 쇼기판은 바둑판을 활용하였다. 바둑판이 19×19줄인데 2칸을 한칸으로 간주하면, 9×9칸인 쇼기판으로 만들 수 있다. 쇼기 세트를 구입하기 전에는 임시방편으로 이렇게라도 두어볼 밖에.

쇼기를 직접 두어보니, 재투입 규칙이 정말 장난 아니었다. 장거리 기물(차나 포 또는 퀸, 룩, 비숍 등)이 부족하여, 속도감이 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 것은 전연 기우였다. 포로를 잡게 되면, 폭탄처럼 투하할 수 있으므로, 특공대를 공중에서 투하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일본식이니까, 닌자 침투라고 해야 할런지.

향차의 경우에도 옆으로 못 가니까, 불편하다고 생각했는데, 재투입시에는 상황에 따라서는 폭발적인 힘을 발휘할 수도 있게 된다. 승부의 관건은 적의 침투를 효율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진지 구축이다. 쇼기를 처음 두어서 그런지, 초보자들끼리는 평생 두어도 끝나지 않을 듯하여 중간에서 그만 두었다. 따먹혀도 다시 재투입하면 되니까.

이 현대의 표준쇼기는 小쇼기가 정착된 것인데, 기물이 100개도 넘는 大쇼기는 정말 어떻게 두었을지 궁금하다. 중세시대 일본 봉건 귀족들의 무한한 여유가 느껴지는 시간이었다.

7. 참고
http://www.ancientchess.com
http://blog.naver.com/hoonill777/62173335
http://armishel.tistory.com/6
http://www.shogi.wo.to/

 

Posted by 돌잠
,

중국장기 샹치(Xiangqi)

체스 2009. 11. 15. 22:43

중국장기는 샹치(Xiangqi 象棋, Xiangxi 象戱)라고 한다.



1. 장기판 : 한국장기(Janggi)판과 거의 같다. 다만 양쪽 편 사이를 가르는 강이 있다.
   * 이 강은 장기판에 따라서 초하(楚河) 또는 한계(漢界)라고 씌어져 있다.
  
2. 기물의 형태는 원형이며, 색깔은 Red와 Green을 씀
   * Red 가 먼저 시작하며, Red 가 좋은 편으로 여겨진다. (한국장기는 Green이 먼저 함)

3. 기물의 이름 

 이름(Green / Red)  뜻  주요 장기의 대응기물
 Jiang(將) / Shuai(帥)  장군  -
 Shi(士 / 仕)  고문, 호위무사  샤트란즈의 Firzan
 Shiang(象 / 相)  코끼리 / 재상  샤트란즈의 Al-fil (도약 여부가 다름)
 Ma(馬 / 人馬)  말  장기의 마
 Chuh(車 / 人車)  전차  체스의 Rook
 Pao(砲 / 火包)  돌쇠뇌 / 화포  장기의 포 (약간 다름)
 Tsuh(卒) / Ping(兵)  졸병  장기의 졸 (약간 다름)

4. 기물의 포진 :  장군이 맨 하단에 배치되는 점외에는 한국장기와 같음

5. 기물의 행마

 이름(Green / Red)

 행마

 비고
 Jiang(將) / Shuai(帥)  사방(+) 한칸  궁을 벗어나지 못함
 Shi(士 / 仕)  사우(×) 한칸  궁을 벗어나지 못함
 Shiang(象 / 相)  사우(×) 두칸  강을 건너지 못함
 Ma(馬 / 人馬)

 사방(+) 한칸 + 전우(V) 한칸 = 사방 Y자 행마

 -
 Chuh(車 / 人車)  사방(+) 무제한  -
 Pao(砲 / 火包)

 사방(+) 무제한
 공격시 기물을 하나 뛰어넘어(∩) 무제한 포획 가능

 -
 Tsuh(卒) / Ping(兵)  전방(↑) 한칸

 강을 건너면 측방(⊥)으로도 갈 수 있음 


 * 장군은 중간에 다른 기물이 없으면 서로 마주 볼 수 없다. 먼저 마주 보인 쪽이 지게 된다.
 * 포의 경우, 포끼리 잡아먹을 수 있고, 포끼리 서로 넘어서 공격을 할 수도 있다.
 * 궁성에 진입했을 때, 차, 포, 졸병의 경우, 궁성내의 사선으로 행마를 못하고 자기 행마규칙에 따른다.

6. 경기 감상 

체스를 처음 둘 때, 폰의 이동시 행마와 공격시 행마가 달라서 매우 애를 먹는다. 상치를 두어보면, 상치 또한 포의 특별한 행마에 적응하기가 매우 힘들다. 이동은 차처럼 전후좌우로 이동하므로 행마가 쉽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우선 한국장기에서 포의 주특기인 연타석 공격을 할 수가 없다. 한번 공격하였으면 다시 물러나서 때를 보아야 한다. 그렇다고 수비적인 기물도 아니므로 포의 공격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것이 승부의 열쇠로 보인다. 

포 다음으로 운영이 어려운 기물은 졸로 느껴진다. 아군진영에서는 졸을 옆으로 쓸 수 없어서 졸끼리 연합하여 1차 바리케이트를 칠 수가 없다. 한국장기에서처럼 졸을 활용하여 초반에 안정된 진영을 구축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결국 졸은 강을 건너게 해서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공격적으로 운영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악조건에서 수비를 하게 되는 것은 의외로 상이다. 상은 강을 건너서 적진으로 진격할 수 없으므로 공격에 활용하기도 힘들지만, 수비적 측면에서는 포나 졸의 빈틈을 곧잘 메우는 듯하다.

Posted by 돌잠
,
옛날 아랍장기(Ancient Arab Chess)는 AD 6세기경의 페르시아 체스 차트랑(Chatrang)과 그를 이어받아 AD 7세기부터 15세기까지 이슬람세계에서 두어진 샤트란즈(Shatranj)를 뜻한다. 이 체스는 아라비아 반도와 시칠리아섬에 대한 무슬림의 정복과 십자군 전쟁 등으로 인한 서유럽과 이슬람의 다양한 문화교류 이후 유럽으로 전달되어 중세체스(Medieval Chess)가 되었다가 오늘날의 체스(Modern Chess, Orthodox Chess)로 발전하기에 이른다.

Nishapur set, Iran, AD 12 C,  the Seljuk period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history.chess.free.fr/first-persian-russian.htm



1. 장기판 : 현대체스와는 달리 체크 무늬가 없다.
    * 체크무늬는 현대체스에서 퀸과 비숍의 역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그 행마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한 현대체스의 발명품

2. 기물의 색깔은 빨강 (Red 루비 또는 White) 과 초록 (Green 사파이어 또는 Black) 이며, 기물의 형상은 이슬람교의 영향 (성상숭배금지) 을 받아 추상화되어 있음 (반면에 인도의 기물은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음)

3. 기물의 이름 
 차트랑 (페르시아)  샤트란즈 (아랍)  기물의 가치
 Shah     (King)  Shah  ∞
 Farzin, Wazir  (Counselor 고문)  Firzan, Fers, Ferz, Firz  1/3~3/8
 Pil        (Elephant)  Al-fil, Aufin  1/4
 Asp      (Horse)  Faras  2/3
 Rokh     (Chariot)  Rukh  1
 Piyada  (Foot Soldier 보병)  Baidaq  d,e Baidaq : 1/4
 b,c,f,g Baidaq : 1/6
 a,h Baidaq : 1/8
http://en.wikipedia.org/wiki/Shatranj  "The Immortal Game", David Shenk

4. 기물의 포진 :  Shah의 우측에 Fers가 배치되는 점외에는 현대체스와 같음

5. 기물의 행마

 기물  행마  비고
 Shah

 사방(+)사우(×) 한칸

 -
 Firzan  사우(×) 한칸  -
 Al-fil  사우(×) 두칸, 도약(∩) 가능  -
 Faras

 사방 T자 행마, 도약(∩) 가능

 -
 Rukh  사방(+) 무제한  -
 Baidaq

 전방(↑) 한칸
 공격시 전우(V) 한칸

 적진 끝행에서 Firzan으로 승진

6. 승리 규칙 : 아래 3가지 경우에서 공격자가 이긴다.

 1) Checkmate : 샤 (Shah, King)가 더이상 Check를 피할 수 없을 때 
 2) Stalemate : 현재는 Check상태가 아니며 또한 상대가 설사 Checkmate를 시킬 수 없다 하더라도, 자기 차례에서 스스로 Check상태가 되는 수 밖에 남아 있지 않을 때
  * 현대체스에서는 비김 규칙
 3) Bare king : 샤 (Shah, King) 외에 어떤 말도 남아있지 않게 된 한쪽이, 다음 수에서 상대를 마찬가지로 그렇게 만들 수 없을 때
  * 서로가 연달아서 Bare King이 되면 비김

7. 경기 감상

 샤트란즈의 규칙을 적용해서 게임을 해보았는데, 졸(卒, Baidaq)의 첫 행마시 두칸 전진 옵션이 없어 조금 답답한 상태이나, 상(象, Al-fil)이 나이트처럼 도약을 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으므로, 그런 대로 숨통은 트임. 사(士, Firzan)가 아주 약한 말이 되니까, 비슷한 궤도를 진행하는 상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말이 되므로, 한국장기에서처럼 (한국장기는 상(象)의 활동력 여하가 승부의 관건), 상을 잘 활용하려고 노력해야 함. 차(車, Rukh)와 마(馬, Faras)의 합동작전으로 화력을 집중해서 승부를 내는 국면으로 전개되며, 현대체스 보다는 한국장기와 유사한 느낌이 들었슴. 다만, 한국장기의 포(包)가 없으므로 공격에서의 호쾌함이 없는 것이 아쉬움.
 
8. 참조
 www.ancientchess.com
 www.chessvariants.org 

Posted by 돌잠
,